청렴결백한 논리 주의자, 현실주의자 (세상의 소금형) 오늘은 Mbti 첫 번째 istj입니다. BTI유형 중 평균 IQ(지능지수)는 16 유형 중 10위로 중하권이지만 GPA는 5위로 중상위권이며, 대한민국의 수학능력시험 성적 평균이 무려 1위!. ISTJ가 어떠한 성취적 경쟁 구도에서 높은 성적을 기록하기 유리한 유형이라는 걸 알 수 있고 우리나라와 같은 수업환경에 더욱 적응하기 쉽다는 결과를 보여줍니다 만, 장단점이 있듯 영재성 발현율은 전세 9위에 그친다고 합니다.
ISTJ의 일반적인 특징
- 의과대학이나 간호대학의 정서문화와 흡사합니다.
- 선입견이 강합니다.
- 낯가림이 심한 편입니다.
- 지나고 난 다음에 따지는 편입니다.
- 주어진 업무나 책임을 끝까지 완수합니다.
- 의젓한 성격이므로 장남, 장녀같다는 말을 많이 듣는다고 합니다.
- 예고 없이 갑작스러운 변화를 매우 싫어한다고 합니다.
- 원리, 원칙적이라고 합니다.
- 실수한 것을 참지 못하고 즉각 수정하기를 원한다고 합니다.
- 남들이 속을 모른다고 말한다고 합니다.
- 휴일에도 집에서 주로 지내길 좋아한다고 합니다.
- 참고 참았다가 터트리는 편입니다.
- 논리, 합리적임을 중요시 하지만, 부기 능이 Te(외향 사고)이고 주기능이 Si(내향 감각)이라서 구시대적인 관습을 논리에 따른 판단 없이 수용하는 편입니다.
- 잘못했다는 건 인정하면서도 미안하다, 잘못했다고는 잘 못한다고 합니다.
- 정리정돈을 해놓는것이 우선입니다.
- 직설적인 표현을 많이 하는 편이라고 합니다.(주로 가까운 사람들에게)
- 현실성 대중성을 중시하므로 취미를 가져도 일반적인 것, 아니면 전통적인 것을 선호한다고 합니다.
- 겉보기에 차가워 보인다고 합니다.
- 건강하지 않을 경우 자신이 속해 있는 소속 내의 사람들을 관리하고 통제하려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.
- I(내향형) 중에서는 가장 많이 성공하는 유형이기도 합니다. MBTI 평균 연봉 자료에 의하면 16 유형 중 5위입니다.
- IQ(지능 지수)는 16유형중 10위이지만 대학 수학능력시험 성적 평균은 1위입니다.(인문계 1위, 자연계 2위)
- 남들이 본인의 일에 참견하는 것을 싫어합니다.
- 보편적인 요소와 일들에 많은 흥미를 가지며 소위 말하는 특이한 것과 튀는 것에는 관심이 적습니다.
Alpha
|
Beta
|
ISFJ
ESFJ INTP ENTP |
ISTP
ESTP INFJ ENFJ |
Delta
|
Gamma
|
ISTJ
ESTJ INFP ENFP |
ISFP
ESFP INTJ ENTJ |
▲ '사회인격학'의 쿼드라(Quadras) 그룹 모형
|
mbti출처-나무 위키
다른 MBTI와의 관계
ISTJ-ISFP (이익관계 : Benefit) : ISTJ 수혜자-ISFP 후원자의 이익관계 ISTJ와 ISFP는 둘 다 내성적이고 혼자만의 시간을 보내고 세부적인것에 주의를 집중하는것을 선호합니다. 둘다 처리할 수 있는 개인적인 공강이 많이 허용되어야 합니다. ISFP는 일반적으로 그들이 어떻게 느끼고 막바지 기회를 추구하는 것을 선호하는지에 따라 결정을 내리는 반면 ISTJ는 정해진 목표에 대해 논리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어서 ISTJ는 피드백을 공유할 때 ISFP의 감정을 배려해야 하고, ISFP는 ISTJ의 피드백을 혹평보다는 건설적인 조언으로 간주하도록 하면 서로 상호보완적인 관계에 이르기가 쉽다고 합니다.
ISTJ - ISFJ (비교 : Comparative) : 최강점과 최약점이 같아서 가취관이나 취향 등이 서로 같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동일 관계에 비해 동족 혐오가 덜하고 거울과 같은 관계가 되기 쉽다고 합니다.
오늘은 mbti 중 ISTJ의 특성에 대해서 적어 보았습니다. 하루하루 한 개 한개 풀어놓을 예정이므로 많이 봐주시기 바라요!
자신의 MBTI를 모르신다면?
무료 성격유형검사 | 16Personalities
혹 질문이 마음에 들지 않더라도 정직하게 답변하십시오.
www.16personalities.com
'나를 지키는 방법과 지식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서번트 증후군 이상한변호사 우영우 (0) | 2022.07.30 |
---|---|
자폐성 장애와 자폐스펙트럼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(0) | 2022.07.29 |
마이어스-브릭스 유형 지표(Myers-Briggs-Type Indicator, MBTI) (0) | 2022.07.19 |
번아웃증후군(Burnout Syndrome),나는 번아웃인가? (0) | 2022.04.01 |
[1분법] 스트레스(stress)에 대한 정의와 해소법. (0) | 2022.03.27 |
댓글